728x90
반응형
728x90
아직도 사실 코딩이란 것을 잘 모르겠다. 체감이 되지도 않는다. 그래도 관심을 가지려고 하는건 아들때문이다. 언제나 생각했다. 아들에게 가장 물려줘야 할 것은 세상을 이해하고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이라고. 아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것들을 잘 모을 줄 알아야 할텐데 그러려면 세상에 대한 구조를 이해해야한다.

마치 이런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농업이 주를 이루던 시대에는 농업기술을 알아야 했고 땅을 가져야 했을 것이다. 그런데 산업 혁명 후엔 어떤가. 농업기술이 아니라 컴퓨터활용능력이나 영어가 중요했을 것이다. 어렸을때 책장 한쪽에 있던 아버지의 TOEIC교재가 아직도 생각난다. 당시 아버지는 지금도 유명한 대기업의 대리 정도였을 것인데 그때 승진 점수가 400점인가였다고 한다. 지금은 900이 아니면 입사 자체가 힘든 세상이다.

“그런데 말입니다”.(상중 아저씨 빙의), 이제 또 돌아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이런 영어 또한 그다지 필요 없는 기술일 수도 있다. 자율주행도 하는 시대에 통역이 무슨 소용일까. 점점 더 사람스러워지는 인공지능들이 통번역 정도(?)는 훌륭히 수행해버리지 않을까 싶다. 나도 현재 영어로 작성해야 하는 메일은 네이버 파파고나 구글 번역기를 이용하고 있다.

어쨌든 이렇게 세상이 변하고 있다. 그런데 그게 상상도 못할 세계라는 것이 불안하다. 그 격동기에 살아야할 아들에게 엄마로서 해줄 것이 없을까봐 불안하다. 내가 살아보지 못한 세상이다. 그런 세상을 체화하지 못한 채 가르쳐 주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할 것이다. 4차 혁명은 커녕, 3차 산업시대에도 쩌리짱으로 있는 내가 뭘 알겠는가. 영혼을 불사질러 최대한 내가 알아보고 공부하고 도와줘야하는 것 같다. 헬리콥터 부모를 뜻하는게 아니다. 아들도 분명 언젠가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할텐데 그때 내가 열린 사고로 조언을 해주고 싶은 마음 뿐이다. 그러려면 내가 잘 알아야 한다.




어제 놓친 SBS스페셜을 보면서 코딩 교육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다. 오늘 결제해서라도 다시 보고야 말겠다. 그런데 한가지 우려되는 부분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본질보다는 파생된 뭔가를 좇는 경향이 크다는 것이다. 코딩 기술과 응용방안에 대한 통찰은 없고 우리나라는 코딩 그 자체에 집중할 것 같다. 누가누가 더 다양한 코딩을 구현하나, 한정된 시간이 누가 더 많이 코딩을 하냐, 누가누가 더 복잡한 코딩을 할 수 있을 것인가가 점수화되어 또다시 성적으로 줄을 서게 될 것이다. 코딩이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는 뒷전일 것 같다. 왠지 그런 느낌이 든다. 실제로 나도 자격증을 알아보기 위해 검색을 하면 십중팔구 학원 광고다. 코딩이 문제가 아니라 코딩이 뜨니까 이게 사업모델인 것이고 이 사업모델로 성공을 하려는 기존 세대의 야망이 담겨있다.

하다못해 나도 현재 회사에서 코딩교육을 기획하려고 준비중이다. 이제 나도 구시대의 아이콘이 돼가려고하고 ‘전 코딩의 코자도 몰라요. 모르는 사람이 누군가를 가르치는게 맞는지 모르겠어요.(직접 가르치는건 아니지만 기획이라는게 그러하다고 생각)”라고 해봤자 돌아오는건 ‘그래도 해야한다’는 내부의 ‘으쌰으쌰’. 내 아들은 이런 굴레에서 벗어나게 하고 싶다. 차라리 기술을 배우라고 하더라도 과연 어떤 기술을 배워야하는지가 가장 관건이다. 아이가 언젠가 하고 싶은 일이 생겼을때, 그 직업에 대해 내가 설명해주고 예상되는 이익과 어려움을 설명해줄 수 있길 기대한다. 그런 멋진 아들의 스승이 되기 위해 더 나은 사람이 돼야겠다고 오늘도 다짐해본다. 아들로 인해 내가 자란다.


반응형
728x90

우리나라도 내년이면 초,중,고등학교에서 코딩교육을 정규교육으로 실시한다고 한다. 과목의 하나로서 코딩을 배우는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기초학문으로서 '국영수'외에 코딩이 들어오는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코딩이라는게 도대체 무엇인지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었다.


마침 싱가포르로 유아 코딩교육에 관련해 취재를 다녀온 동기가 있었다. 칼국수를 먹으면서 코딩에 대해 신나게 떠들었다. 제일 유아 반의 아이들은 대략 만 4세로 보면 되는데 이 아이들은 벌모양의 로봇을 프로그래밍한다. 벌 모양 로봇에는 몇가지 버튼이 있다. '앞으로 가기', '옆으로 가기' 등등으로 입력값을 지정할 수 있는 버튼이다. 이 벌모양 로봇을 앞으로는 '비봇'이라고 부르겠다. 이 비봇을 여러가지로 활용하게 된다. 밑 판에 미로처럼 길을 만들고 비봇을 올려둔다. 이 길을 따라가려면 '앞으로 한칸', '옆으로 두 칸'을 가야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아이들은 길을 보고 비봇 입력값 버튼을 조작한다. '앞으로 가는 버튼' 한번, '옆으로 가는 버튼' 두번을 누른다. 그리고 실행을 시키면 비봇을 입력값대로 움직인다. 그런식으로 비봇을 조작하게 된다.


조금 더 나아가며 이런 방식도 있다. 비봇 아래 종이에는 큰 코끼리 그림을 그린다. 그 큰 코끼리 그림을 색칠하려면 비봇에 물감 묻힌 붓을 장착시키고 '어떻게 움직여야 비봇이 코끼리 그림을 채울지'아이들은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그대로 비봇에 입력값을 입력하고 실행한다. 이런식으로 아이들은 '기획'을 하고, '입력'을 하고, 출력값을 보게 된다.


처음 이 얘기를 들었을때 순간 '그럼 기존 장난감이랑 뭐가 다른가'생각을 해봤다.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남감도 버튼을 누르면 일정한 반응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 나는 무릎을 탁!쳤다. 바로 '입력'이다. 그동안 아이들이 가지고 놀았던 것은 '입력'이라는 과정 자체가 생략됐던 것이다. 이미 입력이 돼있는 것에 대한 '실행'과 '출력'만 있었다. 자신이 의도한 바대로 비봇을 움직이게 하는 '기획'과 '입력'을 코딩이 해주는 것이다. 애초에 내가 비봇 수업을 듣고 의아해했던것이 바로 그 큰 차이다. 코딩이라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체화된 아이와 안된 아이의 차이다. 코딩은 이렇게, 로봇으로 대표될 이러한 단말기에 자신들의 의도를 입력하고 그대로 결과물을 받아보면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원하는 게임을 만들 수도 있다. 그러기 위해 머릿속에 의도와 기획이 있어야 하고 이러한 과정은 사물을 인식하고 활용하는 총체적인 과정을 습득하게 할 것이다.

 

 

 


우리 아이들은 IT기계랑 도저히 떼려야 뗄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 과장해서 말하면 인간 반 로봇 반 시대를 살지도 모른다. 어쩌면 광의의 개념으로는 이미 생활 속에는 로봇과 시스템이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인간이 태어난 '자연환경'에 못지 않게 인간의 삶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러한 환경을 아는 것은, 마치 지구과학을 배우는 것과 같다고 볼 수도 있다. 본인이 살아갈 세상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정도랄까? 물론 지금까지 말한 내용은, 어제까지도 코딩에 대한 개념이 별로 없던 사람이 '추측'에 좀 더 기대서 쓴 글이다. 하지만 나도 새로운 세상을 살아갈 아이의 엄마이기 때문에 앞으로 꾸준히 정보를 알아가고 배워갈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